녹음이 5월의 자태를 맘 껏 뽐내는 가로수 길을 따라 오늘도
하루해를 시작하는 자전거 출근을 한다.가로수들은
도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악수를 하고있다. 그 사이를 달리면 마치 터널을 가로 질러가는 느낌이다.
거리는 아직도 5.1절 휴가때문인지
많이 한산하다.
북경에 온지 벌써 일년이 되어간다.세월의 빠름을 느낀다는 것은 이미
그세월의 흐름을 아쉬워 할
나이가 되어간다는 증거일까.
북경에 자리를 잡고 중국말 한마디도 못하는 가족을 데리고 왕징신청이라는 아파트에 입주한 지
한달이 채 못되었을때.. 집에 있는 아들로 부터 전화가 왔다.집이 정전이라는 것이다.
부랴부랴 달려가 전기계량기를 보니 돈이 없다는 표시가 반짝반짝한다.
일에 신경쓰느라 그만 전기카드 충전을
깜박 잊어버린 것이었다.
그때 시간이 오후 5시라 은행이 혹 열었을까 의심하며 가보니 역시나
은행은 육중한 철문으로 막혀있다.
겨울이라 기본난방은 되고 있으나 전기불이 없으니 정말 난감하기가 그지없었다. 어쩔 수없이 하루를 전기없이
지새우게 되어버린것이다.
칠흑같은 밤을 보내고 출근도 미룬 채 공상은행에 가서 전기카드에 돈을 넣은후 돌아와 계량기에 카드를 찔러 보니
그때서야 불이 들어온다.반가워라.
어릴적엔 전기없이 호롱불아래서 어떻게 살았을까?
교포직원에게 이런 이야길
했더니 요령을 알려준다.
먼저 500위엔을 카드에 충전한 후 계량기에 입력시키고 다시 예비로 미리 500위엔을 충전해 놓으면 그런 낭패를
보지않는다는것을 가르켜준다.
한국인은 중국에서 돈없으면 살수없다.외상사절이다.
또 한달정도
지나 퇴근후 집에 가니 딸내미 입이 댓발이나 나와있다.
인터넷이 되지 않아 친구와 메신저를 못하고 메일 확인도 못했다는것이다.
계약시 받은 서류뭉치를 꺼내보니 인터넷에 관한 계약서가 나온다.
그리고 보니 중국이동통신에서 인터넷을 관여하고 있었다.ADSL라인에 인터넷을 전화와 같이 연결해 준 것이다.전화를 해서 인터넷이 안된다고 하니 은행에 가서 돈을 넣어야 한다는 것이다.
매월 25일 스스로 알아서 공상은행에 가서 전화번호와 계약자 이름을 대면 영수증을 준다는 것이다.또 공상은행에 가서 청구서를 받고
돈을 넣으니
만 하루가 지나서야 다시 개통된다.
이곳은 정말 외상사절이다.
한국직원들은 비상연락때문에 이동전화(모바일폰)를 모두 가지고 있다.전화개통은 먼저 전화기를 사고 이동통신회사에서
판매하는 고유번호를 사고 전화카드를 산다.
한국의 공중전화 카드처럼 "충즈카"라는 것이 있어 그금액만큼 사용하는 것이다. 돈 떨어지면 바로 정지다. 연체라는 것이
없다.연체도 될 수없으며 돈없으면 바로 정지니 무슨 연체가 있겠는가.
이것이 귀찮고 또 전화요금도 비싸고 해서 여권을 가지고 아예 이동통신에서 번호를 따서 사용했더니 이것도 돈 떨어지면 바로
정지다.예고없는 정지다. 이 역시 외상사절이다.
처음 중국에 와서 필요한 자재를 구매하려 흥정할 때 계약금을 달라고
하는 이들을 보고 이해를 하지 못했었다.한국에서야 물건을 납품받고 결재도 그 익월에 3개월짜리 어음을 주고도 미안한 감이 없었는데…이곳은 무조건
현금 박치기다.공급자보다 수요자가 약자다.
'외상'이란 낱말은 중국에서 찾아 볼래야 찾아볼수가없다.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중국에 살며 임대주택을
사용한다.월세개념의 주택이다. 계약시 한달치 지불,그리고 3개월에서 6개월 월세 선금…시간이 지나 3개월,6개월지나면 또다시 선불…월세를 미리
내지못하면 계약시 한달치선불은 날라간다.방세 못내면 바로 쫒겨나야한다.
돈없으면 못산다.아 정말 삭막하지 않은가…
한국의 전세는 중국에서 생활하다보면 정말 좋은 제도라 몸소 느껴진다.
지금이라도 중국생활이 길다면 주택구입을 해보길
권유한다.월세값이 집값따라간다.
ps. 한국의 소비는 외상이라면 소도 잡아 먹는다대....
역시 중국과 우리는 문화풍토가 달라도 너무 다르군요
'중국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경 유스호스텔을 소개 합니다. (0) | 2005.09.07 |
---|---|
중국관련 책한권 소개합니다.....중국 경제성장의 비밀 (0) | 2005.08.27 |
중국 지도자 후진타오의 이력서 (0) | 2005.08.20 |
중국 기관 안내 웹사이트 입니다. (0) | 2005.08.17 |
중국에서 사업을 할려면 꼭 등여군의 노래 몇곡은 반드시 알아야 된다! (0) | 2005.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