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스크랩] 기초 입문 - 중국어의 발음과 성조

데코차이나 2005. 10. 31. 02:09
 원문출처 : 강수정이만난중국,중국어

중국어의 한자 하나하나 에는 올리고 내리고 하는 높낮이의 변화가 있다. 이것을 성조라고 하는데 우리가 배우게 될 중국 표준어는 모두 4가지의 성조가 있어 이를 4성이라고 한다. 중국어에는 같은 발음이라도 성조가 다르면 의미 또한 완전히 달라진다.

 

한어 병음 자모(汉语拼音字母)

 

중국어는 상형문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글자를 보고 소리를 정확히 나타내지는 못한다. 따라서 처음 접하는 글자는 읽을 수가 없는데 이를 읽는 법을 나타낸 것이 바로 한어 병음 자모이다.

 

중국은 각지의 방언을 하나의 언어로 통합하고, 문맹을 퇴치하기 위하여 1918년 ‘주음자모(注音字母)’를 공포하고, 1926년 ‘국어 로마자’가 제정하였으며, 1931년 취츄바이[瞿秋白] ·우위장[吳玉章] 등이 ‘라틴화 신문자’를 제창하였다. 한자는 말소리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배우기 어렵기 때문에 한자 대신에 표음 문자를 쓰려는 의지로 중국의 문자 개혁 위원회가 58년 ‘한어 병음 방안’ 을 제정하였다. 병음은 한자의 발음으로 활용하면서 보통어인 북경어의 보급과 교육 추진에 이바지했다.

 

한자사용을 능률화하기 위하여 중국은 56년 ‘한자간화방안’을 공포하였으며, 그 후 세 차례의 추가 보충을 하여 64년 간행된 ‘간화자총표’에는 약 2400자의 간체자가 수록되어 있다.

 

대만의 국민당 정부에서 주음부호(注音符号)를 제정 보급했으나 이는 현재 타이완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이 책에서는 한어 병음 자모를 표기하였다.

 

간체자

 

현대 중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자는 6,300자에 이르며, 우리나라나 일본에서 주로 쓰는 한자의 약 2배이다. 복잡함을 피하기 위해 제정된 간화자는 2,000자를 넘으며, 이는 우리의 상용 한자수와 거의 비슷합니다. 간체자 중에는 우리가 써 오는 해서와는 전혀 다른 모양으로 된 문자도 적지 않다.

오늘날 중국 대륙과 싱가포르 등의 국가 공인의 정규 문자로서 사용되는 것은 ‘간체자(简体字/簡體字:
Ji2nt&z*) 라고 하는 간략화된 한자이고 우리나라와 대만 홍콩 등지에서 사용되는 한자는 ‘번체자(繁体字/繁體字:F1nt&z*) 라고 한다.
 
간체자는 중화인민 공화국이 성립된 후 중국 문자 개혁 위원회 의해서 1955년에 제정되었고 그 후 한자 간체화 방안(漢字簡化方案)이 만들어지고, 1959년까지 네 차례에 걸쳐 정식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간체자는 글자 형태를 생략하거나 개조한 것 등 여러가지 방식으로 채용된 글자들이 포함되어 있다.

중국어의 표준어

 

중국어는 크게 만다린(Mandarin)이라고 불리는 보통화(普通话: Pǔt8nghu3) 켄토니스(Cantonese)라고 불리우는 광동어(广东话: Gu2ngd8nghu3) 나뉜다. 우리가 배울 중국어는 한족(汉族: H3nz{} 언어라는 뜻으로 한어(汉语: H3nyǔ) 라고 부른다.

 

중국은 영토가 넓고 여러 민족이 모여 사는 나라이기 때문에 많은 사투리가 있다. 그래서 전국 공통의 언어인 표준어를 중국에서 가장 많은 민족인 한족의 언어로 지정했다.

1) 중국어의 4성

 

성조

특징

포인트

1성

m`

높고 길게 “솔”의 음높이를 유지 한다.

길게 읽어준다.

2성

m1

“미”정도의 음에서 빠르게 음을 높이 올려준다.

높이 올라갈수록 이쁘게 들린다.

3성

m2

“레도파”, 재빨리 음을 내렸다가 다시 살짝 끌어올려 준다.

다시 끌어 올려 줄 때 너무 높이 올라갈 필요는 없다.

4성

m3

“솔”에서 빠른 속도로 떨어뜨린다.

“솔”에 힘을 실어서 떨어뜨려야 한다.

 

 

2) 경성

 

가볍고 짧게 읽어주면 된다.

경성의 높이는 앞 성조에 의해 약간의 변화가 있다. 성조 표시가 없거나 “·” 으로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참고로 이 책에서는 경성에 성조 부호를 붙이지 않았다.

 

경성에 유의 해서 읽어보세요.

 

1성+경성: 살짝 떨어뜨려 준다.

m`ma (엄마)       

g4ge (오빠, )

 

2성+경성: 살짝 떨어뜨려 준다.

             y5ye (할아버지)

                       p9po (시어머니)

 

3성+경성: 살짝 올려준다.

             n2inai (할머니)

ji6jie (언니, 누나)

 

4성+경성: 살짝 떨어뜨려 준다.

b3ba (아빠)
m7imei (
여동생)

 

성조의 변화

 

3성+3성=>2성+3성

N& h2o=>N^ h1o

L2o sh}=>l1o sh}

 

3성+1, 2, 4성=>반3성+1, 2, 4성

L2o sh%

W0 l1i

N& q]

 

3) 자음

 

 구분

무기음

유기음

 

 

 唇音입술 소리

bo

po

mo

 

唇齿音(윗니소리)

 

 

 

fo

舌尖音(혀끝 소리)

de

te

ne

le

舌根音(혀뿌리 소리)

ge

ke

he

 

舌面音(혓바닥 소리)

ji

qi

xi

 

卷舌音(혀 말은 소리)

zhi

chi

shi

ri

舌齿音(혀와 잇소리)

zi

ci

si

 

 

무기음: 손바닥을 입에 대고 발음을 했을 때 바람이 나오는 느낌이 나오면 안된다.

유기음: 성문을 통해서 발음되는 소리이므로 손에 바람이 느껴지면 된다.

연습법: 얇은 종이 한장을 입 아에 두고 발음 했을 때 무기음일 경우 종이가 흔들리지 않는다. 유기음은 숨을 강하게 토해내므로 종이가 흔들린다.

 

4) 모음

 

단모음: 하나의 모음으로 된 운모이다.

a ‘아’ 하며 음을 길게 읽어준다.

o ‘오’의 입 모양을 하고 ‘어’ 발음을 해 준다. 우리나라의 ‘오’ 발음과는 약간 차이가 있다.

e ‘으’와 ‘어’ 의 중간 입 모양을 하고 ‘어’ 발음을 해 준다.

i  ‘이’를 길게 끌어준다.

u 입을 쭉 내밀고 ‘우’라고 발음한다.

ü  ‘우’모양을 하고 ‘이’라고 발음한다. 이때 ‘이’라는 발음은 들리지 않아야 한다.

 

복모음: 단모음을 두개 이상 결합한 것을 말한다. 두개의 모음중에 성조 표시가 되어 있는 발음을 길게 강하게 발음한다.

앞의 모음을 강하게 발음하는 것

ai ‘a’ 를 길게 강하게 발음하고 ‘i’를 부드럽게 연결시켜 준다.

ei ‘e’ 를 길게 강하게 발음하고 ‘i’를 부드럽게 연결시켜 준다.

ao ‘a’ 를 길게 강하게 발음하고 ‘o’를 부드럽게 연결시켜 준다.

ou ‘o’ 를 길게 강하게 발음하고 ‘u’를 부드럽게 연결시켜 준다.

 

뒤의 모음을 강하게 발음하는 것

 

ia  ‘i’에서 점차 ‘a’ 를 부드럽게 연결시켜준다. 이때 한국어의 ‘야’ 와는 다르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ie  ‘i’에서 점차 ‘e’로 연결시키는데 여기서 ‘e’는  ‘어’라고 발음하지 않고 ‘예’라고 발음한다.

 

ua 입을 둥글게 내밀고 ‘u’를 발음하고 점차 입을 크게 벌려 ‘a’로 연결시켜 길게 끌어준다.  

 

uo 입을 둥글게 내밀고 ‘u’를 발음하고 점차 ‘o’로 연결시키는데 ‘우오’ 라는 한국식 발음이 아닌 ‘우워어’라고 자연스럽게 연결시킨다.

 

üe 우리말의 라고 완전히 합성을 시켜서는 안된다. 위예에 의 음에 더 가깝다.

 

삼중모음

 

이중 모음과 마찬가지로 발음 부호가 표기된 모음에 포인트를 주어서 읽어준다.

 

iao 이야아워어 를 재빨리 연결시킨다.  

 

iou 이여여우를 연결시킨다. 앞에 자음이 오지 않을 경우 you, 자음이 올 경우에는 o는 생략하고 iu라고만 표기한다. jiu, qiu

 

uai 우와이라고 발음하며 앞에 자음이 오지 않을 경우에는 wai 라고 쓴다.

 

uei 우웨이라고 발음하고 앞에 자음이 오지 않을 경우 wei 라고 표기하며 자음이 올 경우에는 ui 라고 쓴다. gui, hui

 

비모음

 

n 혀 끝을 이의 안쪽 천정에 붙이면서 이라고 발음한다.

 

ng 혀의 안쪽을 들어올려 혀가 어디에도 닿지 않도록 하고 입을 살짝 벌린채 콧소리로 발음을 내준다.

 

권설모음

 

er 혀를 살짝 접어 올리면서 er이라고 발음한다. 혀 끝이 어디에도 닿지 않도록 하고 발음한다.

 

모음 발음 주의점

 

i 로 발음되는 경우

설치음 뒤(z, c, s)

zi   si    ci

권설음 뒤(zh, ch, sh)

zhi  shi  chi

i 로 발음되는 경우

기타 자음 뒤

ji    qi   xi  

uü 로 발음되는 경우

설면음 뒤(j, q, x)

ju   qu   xu

y

yu

u 로 발음되는 경우

기타 자음 뒤

wu  du   fu   gu   

 

4) 결합모음

 

단모음(单母音)

복모음(复母音)

비모음(鼻母音)

 

a

o

e

ai

ei

ao

ou

an

en

ang

eng

ong

y

ya

 

ye

 

 

yao

you

yan

yin

yang

ying

yong

w

wa

wo

 

wai

wei

 

 

wan

wen

wang

weng

 

ü

 

 

ü

(yue)

 

 

 

 

üan

(yuan)

ün

(yun)

 

 

 

 

5) 발음 연습

 

무기음과 유기음

무기음

J%d3n

zh%dao

z%g5

b8lu9

유기음

q%zi

ch%f3n

k4xu5

c^di2n

 
개음 [i] 결합

i+a

ji`

qi`

y1ch&

y3zh8u

i+e

ji7

qi5zi

y4zi

di5

i+ao

bi2o

di3o

y3o

y3oshi

i+ou

ni}

ji}

yo}

qi{m^

i+an

y`n

y3nzi

qi1n

di2n

i+en

j%n

g`ngq^n

y&nli3o

l6ngy&n

i+ang

xi2ng

ji`ng

y3ngzi

ji`xi`ng

i+eng

j&ng

m^ngti`n

y&ngxi2ng

j%ngy%ng

             

 

 

 

 

 

개음 [u] 와 결합

u+a

gu`

ku`

w`

hu3

u+o

du8

lu-

w0

ku-

u+ai

ku3i

w`i

hu3i

gu`i

u+ei

g]i

h[i

d]i

W7i

u+an

hu1n

du`n

ku`n

W2n

u+en

l{n

D]n

k]n

w7n

u+ang

hu1ng

chu1ng

zhu`ng

w3ng

u+eng

w4ng

d6ng

g7ng

p5ngyou

 

개음 [Ü]와의 결합                                                   

Ü+e

xu5

yu7

qu7

ju5

Ü+an

yu1n

xu2n

ju`n

qu1n

Ü+en

q{nzi

x{n

j[n

y}n

 

6) 화음

음절 끝에 (er) 이 붙는 것을 화음이라고 한다. 음절 끝에 혀를 살짝 구부려 안쪽으로 잡아당겨 준다. 단독으로는 사용하지 않으며 북방지역 사람들이 습관적으로 많이 발음한다.

 

Hu3r                    g4r                      h1ir                     w7ir                    g[nr

h]ir                     zh%r                     sh*r                     j*ngr                    y&ngr

zh7r                    n3r                      n2r                      di2nr                    

 

b] () 의 성조 변화

b] () 는 4성. b] () 뒤에 1,2,3성이 올 경우 4성으로 발음하지만 b] ()+4성이 올 경우엔 2성(b{}으로 읽는다.

 

b]+1성=>         b] ch%                           不吃 (안먹는다)

b]+2성=>            b] l1i                            不来 (안온다)

b]+3성=>            b] m2i                          不买 (사다)

b]+4성=>         b] q] ??              b{ q]     不去 (안간다)

                               b] k3n??             b{ k3n   不看 (안간다)

                               b] m3i??             b{ m3i   不卖 (안판다)

                               b] l7i ??              b{ l7i     不累 (피곤하지 않다)

 

‘一’ 성조 변화

y%()는 뒤에 1,2,3성이 올때는 4성으로 발음되며 4성이 올때는 2성으로 발음한다.

 

y%()+1성?? y*+ti`n(天)         y*x%n (一心) y*zh8u (一周) y*ji` (一家) y*b`n (一般)

y%()+2성?? y*+p1n(盘)         y*ti1o (一条) y*ni1n (一年) y*r5n (一人) y*yu1n (一元)

y%()+3성?? y*+di2n(点)        y*k0u (一口) y*b2i (一百) y*b6n (一本) y*b`n (一股)

     y%()+4성?? y^+g7(个)            y^b] (一步) y^c* (一次) y^d*ng (一定) y^d]i (一对)

 

 

 

2천가지 이상의 중국제품을 구경 하세요!

www.decochina.co.kr